검색결과
전체 4,230 건
세상을 박음질하다 : 정연홍 시집
정연홍 시인의 첫 시집 『세상을 박음질하다』. 정연홍의 시는 견고한 아날로지의 3개 단층으로 구성된 건축물의 형상을 하고 있다. 맨 위쪽 단층은 생명의 기원 ‘우주’이고, 중간 단층은 비루한 군상들이 상처를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인간 세상’이며, 맨 아래 지하는 죽은 자, 즉 ‘귀신’의 세계이다. 시인은 시집에서 ‘천...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사랑의 마키아벨리즘
'사십편시선' 9권. 시를 좋아했으되 '시인'이 되기를 꿈꾸지 않았으나 뜻 같지 않은 세상살이에 대한 가슴앓이로 시를 써 온 이문복 시인이 자신의 이야기를 한 권의 시집으로 묶어 냈다. '사랑의 마키아벨리즘'이란 제목을 붙인 그의 첫 시집에는 존재와 세상에 대한 남다른 감성과 성찰이 돋보이는 '물새와 우편함'을 ...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불세출 : 김록 시집
이번 시집은 불가능한 부재와 침묵의 상태를 희망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법론적으로는 이전 시집들과 분명한 편차를 드러내고 있다. 이 변화의 핵심에는 저 부재와 침묵의 자리 역시 오로지 언어라는 방편을 통해서 밖에는 달리 도달할 길이 없음에 대한 참담한(그러나, 언어의 편에서 보자면 긍정적인) 시적 인...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태양의 혀 : 박미산 시집
박미산 시집 『태양의 혀』. 수필가이며 사진작가이며 시인이기도 한 박미산의 시집으로, 관능 중심의 시편들을 담아냈다. 크게 4부로 구성되어 ‘날아라, 수만 개의 눈으로’, ‘푸른 수염이 자라는 소파’, ‘오르트 구름을 흔들며’, ‘바니와 주디’, ‘세신목욕탕’, ‘셔틀콕의 봄’, ‘용동 큰 우물’, ‘지심도 동백’ 등의 시편이 ...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돌멩이도 따스하다 : 심규한 시집
심규한의 시집 『돌멩이도 따스하다』. 삶에서 우러나온 소박함이 돋보이는 시들이다. 《가난한 날의 행복》, 《수락산 아흔아홉 골짜기 》, 《돼지가 우물에 빠지던 날 》, 《우리는 가난해본 적 없네》, 《산, 들, 바다 그리고 바람》 등 60여 편의 다양한 시를 감상할 수 있다. 시 속에서 저자의 삶 속 가치관을 엿본다.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숲으로 돌아가는 마네킹 : 조용환 시집
조용환의 시집 『숲으로 돌아가는 마네킹』. 전남 나주에서 태어난 1998년 시와사람으로 등단한 조용환의 신작시를 만날 수 있다. 《길가에 앉아 손톱을 깎는다》, 《금붕어는 돌아오지 않는다》, 《숲으로 돌아가는 마네킹》, 《봉창 너머 바람소리》, 《거꾸로 읽어야 한다》 등의 작품을 수록했다.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바람코지에 두고 간다 : 이명수 시집
이명수의 시집 『바람코지에 두고간다』. 《시간의 온도》, 《아줌마 이쁘다》, 《병동과 병동 사이에서》,《미안하다, 가을》, 《쇄락》 등 다양한 시를 수록하고 있다.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붉은 활주로 : 박혜연 시집
박혜연의 시집 『붉은 활주로』. 의미의 상호소통을 통해 새롭게 유추된 의미를 넓히는데 깊게 관여하고 있다. 나무와 풀과 물과 바람, 사람을 사랑하며 살 수밖에 없는 휴머니티의 본래적 모습을 엿보게 된다. 《바다, 여수바다》, 《우리는 포로다》, 《다시 태어나 찾아오다》, 《아버지의 기일》, 《벚꽃이 흩날리는》 ...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노래하는 사막 : 홍은택 시집
이 시집은 그 두 중심(나와 그대)을 잇는 그리움을 주조음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그 궤도는 일직선이 아니라 꼬불꼬불하다. 방황이 길수록 그리움의 넓이도 넓어지기 때문이다. 1부가 공(空)의 언어로 적힌 것도 그리움이란 게 본래 없는 대상을 품고 있기 때문이며, 2부가 여행시편의 형식을 띤 것도 그것의 강역이 방황...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우리처럼 낯선 : 전동균 시집
전동균 시인의 네번째 시집『우리처럼 낯선』.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비루한 현실에 대한 “허무와 달관이 복합된 비극적 세계인식”과 “자아의 존재론적 변용을 꿈꾸는 고독한 영혼의 명상”(남진우, 해설)이 깃든 정신세계를 펼치며, 신성을 지향하는 ‘동경의 시’, 묵시의 어둠속에서 분출하는 ‘비탄의 시’, 일상적 삶의 단면...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