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전체 4,230 건
기울지 않는 조각배 : 공다원 시집
공다원의 시집 『기울지 않는 조각배』. 2013 장애인 창작집 발간지원 사업 수상 작품집이다. 돌아갈 수 없는 시절을 아쉬워하고, 그리워하고, 보고파한다. 추억을 이야기하는 동시에 그 추억을 만나지 못해 슬픔을 함께 이야기한다. 《국화처럼》, 《여름 추석》, 《이별을 준비하는 사람들》, 《허락받지 못하는 슬픔》 ...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단찌히 기행 시첩 : 홍애니 시집
「시산맥 서정시선」 제6권 홍애니의 시집 『단찌히 기행 시첩』. 저자는 평범한 일상 속에서 시상을 꺼내 올려, 잔잔하면서도 평온하고 공감할 수 있는 시편들을 완성시켰다. 《무슬림 성전으로 가는 풍나무 길》, 《겨울 은사시나무》, 《말띠 여자》, 《푼주에 달을 담고》, 《산딸나무가 있는 풍경》 등 다양한 시 작품...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미제레레 : 김안 시집
김안 시인의 두 번째 시집 [미제레레]. 시인은 이 시집에서 당신과 나를 둘러싼 사회를 향해 한 명의 사람으로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 국가, 이 도시의 시민인 시인은 자신이 복무하고 있는 쓰기와, 그에 요구되는 온갖 윤리들에 정면으로 부딪힌다.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굿바이, 자화상 : 김인구 시집
'현대시세계 시인선' 49권. 김인구 시인의 네 번째 시집. 김인구 시인은 1991년 시집 <다시 꽃으로 태어나는 너에게>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후 <신림동 연가>, <아름다운 비밀> 등 세 권의 시집을 냈으며 한국시인협회, 한국작가회의, 시우주 시낭송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해설을 쓴 김백겸 시인은 "김인구 시...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달춤 : 이해웅 시집
이해웅 시인의 『달춤』은 그의 스무 번째 시집이며, [내 안에 든 짐승]의 연작시에서처럼 자기 자신의 실존적 고뇌와 자기 비판을 감행함으로써 그 윤리적 토대를 마련하고, 이 윤리적 토대를 마련함으로써 현대문명사회와 우리 인간들의 세태를 풍자(비판)하게 된다. 이해웅 시인의 풍자의 정신은 ‘비판을 위한 비판’이나...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허공에 거적을 펴다 : 송수권 시집
송수권 시인의 『허공에 거적을 펴다』는 그의 열일곱 번째 시집이며, 남도의 소리와 말가락을 통해서, 서정시의 진수를 선보이고 있다고 할 수가 있다. ‘허공’이란 텅 빈 공간이 아니라, 텅 빔으로서 꽉 찬 초월(무욕)의 공간이며, 언제, 어느 때나 젊은 노老 시인의 아름답고 행복한 삶이 ‘남도의 미학’으로 꽃 피어나는 ...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민들레 행복론 : 고정국 시집
고정국 시집 [민들레 행복론]. 이 시집은 시조로 쓰는 관찰일기 형식을 띄고 있다. 고정국 시인이 쓰는 정형시의 격률은 시인의 보법이고, 사물은 시우가 되고, 겨울봄여름가을의 수명으로 쓴 빛깔의 시집이라고 이야기한다.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젓가락 끝에 피는 꽃 : 홍종빈 시집
홍종빈 시집『젓가락 끝에 피는 꽃』. 총 4부로 구성하여, 어둠의 온기, 바람의 무덤, 피고 지는 무대, 민망한 갈채, 맞장 뜨는 중이다, 아직은 대오 속이다, 매운 연가 등을 수록하고 있다. 붉디 붉은 서산의 저녁 노을과도 같은 순교자의 삶을 노래한 시집이라고 할 수가 있다. 티없이 맑은 속을 드러내 보이며 처절한 꽃...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꽃불 : 박정원 시집
박정원 시집 『꽃불』. 전체 4부로 구성되어 ‘이서국에 들다’, ‘발자국 없는 발자국들’, ‘물소리와의 하룻밤’, ‘사람답게 피는 꽃’, ‘유리창에 쓴 손가락글씨’, ‘발목이 접히다’, ‘봄 터치를 위한 파스텔기법’, ‘별똥별교신법’ 등의 시편이 수록되어 있다. ‘물의 시인’ 박정원은 이번에 ‘눈물’을 노래한다. 이 작품에서 ‘...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
서둘러 후회를 하다 : 김월수 시집
『서둘러 후회를 하다』는 김월수 시인의 시집이다. 시인의 시는 가족의 토대 위에서 자아실현을 추구하고 있다. 총 4부로 나누어 ‘반성’, ‘레고가 날다’, ‘모래 그림’, ‘오리 위에 선생님을 얹다’, ‘파도에 앉다’, ‘달맞이꽃’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장도서관 : 해제작은도서관
소장자료실 : [해제]일반자료실